생명과학1 2025 수능특강 자극의 전달 3점 문제 해설 입니다.
1편입니다.
[2점 바로가기]
[고등생명과학1] "자극의 전달(2점)" 2025 수능특강 문제 풀이 해설
생명과학1 2025 수능특강 자극의 전달 2점 문제 해설 입니다. 가볍게 보시면서, 놓쳤던 개념이 있는지 체크해보세요! 그럼 문제를 같이 살펴봅시다. .. [해설] 말이집을 구성하는 세포
juningscience.tistory.com
.
.
그냥 풀이가 아닌, 시간을 줄이는 풀이법 또는 시작방법을 적어보았습니다.
문제 사진 아래에 [해설]은 저만의 해설을 적은 것이고,
[시작]은 이 문제를 푸는 데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인 시작을 적은 것입니다.
문제 아래에는 [해설], [시작] 중 하나가 있겠습니다.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
.

[시작] d4가 자극지점이라면 막전위 변화 양상이 4가지가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d3가 자극지점이여야 하겠습니다.
불변의 진리가 있습니다.
"자극 지점으로부터 거리가 멀수록 막전위 변화에 쓰인 시간이 줄어듭니다."
그러므로 자극지점의 d3는 ㉠의 막전위 변화를 가저야 하며
d2와 d4는 ㉡이고 d1은 ㉢이 되겠습니다.
위 문제의 답은 ㄴ, ㄷ 입니다.
.
.

[시작] ⓑ에서 ㉮지점의 막전위가 동일합니다.
그러므로 ㉮지점이 d1이면서 ⓑ는 2ms가 되어야 하겠습니다.
ⓐ일 때 신경 B의 d1 막전위가 -80이므로 ⓐ는 3ms 입니다.
가정 : ㉯가 d2라고 가정해봅시다.
3ms일때 신경 B의 ㉯ 막전위는 -30 이므로 전도 속도는 1cm/ms 입니다.
그러므로 신경 A의 전도 속도는 0.5cm/ms 입니다.
w = -60 이고 y = -70이 됩니다.
그런데 신경 A의 d2 지점은 2ms일때 -70이므로 z도 -70이 되버립니다.
.
㉯는 d3 입니다.
신경 B의 전도 속도는 2cm/ms 이고 신경A의 전도 속도는 1cm/ms 입니다.
3ms 에서 신경 A의 d2 지점은 +30이고 d3 지점은 -60 입니다.
위 문제의 답은 ㄴ 입니다.
.
.

[시작] d1과 d2의 막전위는 3ms가 경과된 뒤입니다.
d1은 무조건 -80이 나와야 하고 d2는 -70만 아니면 됩니다.
그 이유를 설명해보겠습니다.
신경 A의 흥분 전도 속도는 2cm/ms 와 4cm/ms 사이입니다.
그러면 3cm를 이동하는 데에 0.75ms 보다는 더 걸리고 1,5ms 보다는 적게 걸려야 합니다.
즉 d2 지점에서 막 전위 변화에 쓰일 수 있는 시간은 1.5ms 보다 크고 2.25ms 보다 작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d2 지점의 막전위는 -70이 될 수 없겠습니다.
따라서 d1과 d2는 ㉰와 ㉱가 되어야 하며 ⓑ는 3ms 입니다.
x = +30 이 되어야 하므로 신경 A의 전도 속도는 3cm/ms 입니다.
신경 B의 전도 속도도 3cm/ms 이므로 d3와 d4 사이를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1ms 입니다.
그러므로 ㉮와 ㉯가 d3, d4가 되겠습니다.
위 문제의 답은 ㄱ,ㄴ 입니다.
.
.
2편에서 이어 풀이해보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2편 바로가기]
[고등생명과학1] "자극의 전달(3점)" 2025 수능특강 문제 풀이 해설 2편
생명과학1 2025 수능특강 자극의 전달 3점 문제 해설 입니다. 2편입니다. [1편 바로가기] [고등생명과학1] "자극의 전달(3점)" 2025 수능특강 문제 풀이 해설 1편생명과학1 2025 수능특강 자극의 전달
juningscience.tistory.com
.
.
'생명과학1 해설 저장소 > 2025 수능특강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등생명과학1] "생태계의 구성과 기능 (2025 수능특강) 2점" : 상호작용 예시를 까먹지 맙시다 (0) | 2024.09.26 |
---|---|
[고등생명과학1] "자극의 전달 3점 (2025 수능특강) 2편" : 불변의 진리에서 시작됩니다 (1) | 2024.09.25 |
[고등생명과학1] "자극의 전달 (2025 수능특강) 2점" : 골격근의 구조 실수하지 맙시다 (0) | 2024.09.25 |
[고등생명과학1] "방어작용 3점 (2025 수능특강)" : 빠뜨린 개념이 있는지 체크해보세요 (0) | 2024.08.26 |
생명과학1 (2025 수능특강) - 방어작용 2점 : 4가지 개념 뼈대를 확인해보세요 (0) | 2024.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