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28 화학1 - 출처 모르는 고난도 양적 관계 문제 4편 : 두 실험 한번에 보기 안녕하세요! 주닛과학입니다. 출처 모르는 고난도 양적 관계 문제 해설 4편입니다. [3편 바로가기] 화학1 - 출처 모르는 고난도 양적 관계 문제 3편 : 비율값을 실제값처럼안녕하세요! 주닛과학입니다. 출처 모르는 고난도 양적 관계 문제 해설 3편입니다. [2편 바로가기] 화학1 - 출처 모르는 고난도 양적 관계 문제 2편 : 계수 합을 이용하기안녕하세요! 주닛과juningscience.tistory.com . 어려워 보이는 문제를 만났을 때 어떤 감정이 드나요? 이걸 어떻게 풀지..? 라는 공포, 두려움이 본능적으로 들기 마련입니다. 제가 추천하는 것은 이런 마인드를 가져보는 겁니다. '그래, 어려워 보이지만, 일단 시작이나 한번 해보자.' 시작을 올바르게 했다면, 그 이후 과정은 자연스럽게.. 2025. 4. 11. 화학1 - 출처 모르는 고난도 양적 관계 문제 3편 : 비율값을 실제값처럼 안녕하세요! 주닛과학입니다. 출처 모르는 고난도 양적 관계 문제 해설 3편입니다. [2편 바로가기] 화학1 - 출처 모르는 고난도 양적 관계 문제 2편 : 계수 합을 이용하기안녕하세요! 주닛과학입니다. 출처 모르는 고난도 양적 관계 문제 해설 2편입니다. [1편 바로가기] 화학1 - 출처 모르는 고난도 양적 관계 문제 1편 : A와 C의 계수 이용하기안녕하세요! 주닛juningscience.tistory.com 학생 여러분은 문제를 보고 시작을 어떻게 할 것인지 고민해보세요. 이때 '문자를 세워볼까?'로 포문을 열어선 안됩니다. 무조건 문자를 세워야만 시작할 수 있는 문제는 절대 없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효율적인 시작방법에 대해 고민하면 그 이후 풀이는 좀 더 자연스럽게 이어질 것입니다. .. 2025. 4. 8. 화학1 - 출처 모르는 고난도 양적 관계 문제 2편 : 계수 합을 이용하기 안녕하세요! 주닛과학입니다. 출처 모르는 고난도 양적 관계 문제 해설 2편입니다. [1편 바로가기] 화학1 - 출처 모르는 고난도 양적 관계 문제 1편 : A와 C의 계수 이용하기안녕하세요! 주닛과학입니다. 오늘부터 출처 모르는 고난도 양적 관계 문제들을 해설해보겠습니다. 제 태블릿을 뒤적거리다 보니, 꽤 많이 있더라구요.. 그냥 남겨두는 건 아까워서 여기에juningscience.tistory.com.. 여러분들이라면 어떻게 시작하고 풀이해나갈 것인지 곰곰이 생각해보세요! 결국 처음 마주하는 문제들을 논리적으로 빠르게 잘 생각할 수 있어야 하니까요.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 [해설] 아쉽게도 화학 반응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는 없습니다. (가) 실린더를 보면 A 2L가 2mo.. 2025. 4. 8. 화학1 - 출처 모르는 고난도 양적 관계 문제 1편 : A와 C의 계수 이용하기 안녕하세요! 주닛과학입니다. 오늘부터 출처 모르는 고난도 양적 관계 문제들을 해설해보겠습니다. 제 태블릿을 뒤적거리다 보니, 꽤 많이 있더라구요.. 그냥 남겨두는 건 아까워서 여기에 담아보려고 합니다. 여러분들이라면 어떻게 시작하고 풀이해나갈 것인지 곰곰이 생각해보세요!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 [해설] 우선 화학 반응식에서 A와 C의 계수가 같습니다. 언젠가 문제풀이가 막히면 꼭 이용해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실험 I에서 만약 A가 모두 반응했다면 실험 II에서 반응 후 부피는 7L가 증가해야 합니다. 실험 II에서 실험 I보다 B를 7L 그대로 더 넣어준 꼴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반응 후 부피는 실험 I과 II가 6L 차이이므로 모순입니다. 그러므로 실험 I에서는 B가 한계 반응물.. 2025. 4. 8. 생명과학1 - 2025학년도 고3 3월 모의고사 주요 문항 : 오답률 1등 문제? 안녕하세요! 2025.03.26 수요일에 시행된 고3 3월 모의고사 생명과학1 주요 문항을 가져와보았습니다. EBS 등급컷을 보면, 난이도는 '중' 정도로 파악됩니다. 모의고사를 치고 나면, 어쩔 수 없이 점수가 제일 먼저 보이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내가 알지 못했던 문제풀이 아이디어가 있는가?' 스스로에게 질문하며 깨우치는 것입니다. 한번 같이 살펴봅시다! .. [해설] ㉠ + ㉡ 길이에 집중해봅시다. t1에서 t2가 될 때, ㉠이 2k 만큼 변한다고 하면 ㉡은 -k 만큼 변해야 합니다. 결국 ㉠ + ㉡ 길이는 +k 만큼 변해야 하므로 k = - 0.2 입니다. 그러므로 t1에서 t2 보다 근육 원섬유 마디의 길이가 더 길어야 하겠습니다. . 같은 논리로 ㉠ - ㉢ 의 길이는 t1에서 t.. 2025. 4. 3. 이전 1 2 3 4 ··· 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