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명과학2 해설 저장소/기출문제 해설

생명과학2 - 세포호흡 문제 5편 : 호흡률

by 주닛과학 2025. 2. 2.

생명과학2 세포호흡 문제 5편입니다.

 
 
[4편 바로가기]

 

[생명과학2] 세포호흡 문제 4편 : 산화적 인산화의 핵심 5가지?

생명과학2 세포호흡 문제 4편입니다. [3편 바로가기] [생명과학2] 세포호흡 문제 3편 : 위치를 잘 구분하자생명과학2 세포호흡 문제 3편입니다. [2편 바로가기] [생명과학2] 세포호흡 문제 2편 : TCA

juningscience.tistory.com

반응형
728x90

.

.

 

'호흡률'이란 세포 호흡에서 이용된 산소생성된 이산화 탄소의 부피 비를 말합니다.

 

호흡률 정의

 

 

세포호흡을 통해 ATP를 얻기 위해 거쳐야 하는 많은 과정이 있습니다.

 

해당과정 / 피루브산의 산화 / TCA 회로 / 산화적 인산화 입니다.

 

탄수화물은 정직하게 모든 과정을 거칩니다.

 

포도당 1분자 당, CO2는 총 6분자가 생성되며 NADH는 10분자, FADH2는 2분자 생성됩니다.

 

NADH 1분자 또는 FADH2 1분자는 모두 2개의 고에너지 전자를 방출합니다.

 

2개의 고에너지 전자는 2H+ 와 1/2O2 와 함께 물 1분자를 만들어내게 됩니다.

 

그러므로 이용되는 산소는 총 6분자가 되겠습니다.

 

탄수화물의 호흡률을 1로 보는 이유입니다.

 

.

 

탄수화물과 다르게 단백질과 지방은 세포호흡의 모든 과정을 정직하게 거치지 않습니다.

 

중성지방은 글리세롤과 지방산으로 구성되는데,

 

글리세롤은 '해당과정의 중간 산물'로 이용됩니다.

 

지방산은 '아세틸CoA'로 전환됩니다.

 

지방의 호흡률은 약 0.7 입니다.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분해된 후 아미노기가 제거된 다음,


아미노산의 종류에 따라 각각 피루브산, 아세틸 CoA, TCA 회로의 중간 산물로 전환됩니다.

 

단백질의 호흡률은 약 0.8 입니다.

 

.

 

개념이 방대할수록 핵심을 다시 정리해보면 좋습니다.

 

1. 호흡률이 큰 순서대로 나열하면 탄수화물 > 단백질 > 지방이다.

 

2. 탄수화물은 정직하게 모든 세포호흡 과정을 거친다.

 

3. 지방은 '해당과정의 중간 산물' 또는 '아세틸CoA'로 전환된다.

 

4. 단백질의 아미노산은 아미노기가 제거된 후, 다양한 형태로 이용된다.

 

.

 

이제 문제를 함께 살펴봅시다!

 

 

 

.

.

 

 

G48 문제

 

[해설] 두가지로 나누어지는 A가 지방이고 B가 탄수화물입니다.

 

아세틸CoA로 전환되는 것은 '지방산(㉠)' 입니다.

 

탄수화물의 호흡률이 1 / 지방의 호흡률이 약 0.7이므로 ㄴ은 틀린 보기입니다.

 

.

 

위 문제의 답은 ㄱ, ㄷ 입니다.

 

.

.

 

 

[해설] 두가지로 나누어지는 ㉠이 지방입니다.

 

아세틸CoA로 전환되는 ⓑ가 지방산입니다.

 

.

 

해당과정은 세포질에서 일어나지만,

 

피루브산의 산화 / TCA 회로 / 산화적 인산화 과정은 모두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납니다.

 

.

 

위 문제의 답은 ㄱ,ㄴ,ㄷ 입니다.

 

 

.

.

 

 

최근에는 수능에서도 '호흡률'은 함께 살펴본 문제와 같이 출제되고 있습니다.

 

핵심을 정리하고 기억한다면 어렵지 않습니다.

 

다시 한번 정리해보세요!

 

수고하셨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