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4

화학1 (2025 수능특강) - 이온결합 문제 : 부족한 개념 체크하기 화학1 2025 수능특강 3단원 이온결합 문제에 대한 해설입니다. 여기서는 이온결합으로 생긴 화합물들의 특성을 잘 기억하고,  물의 전기분해, 염화나트륨의 전기분해 실험결과에 대해 잘 이해할 줄 알아야 하겠습니다.  문제 아래에 [시작]은 어떻게 시작하면 효율적일 지에 대해 적은 것이고  [해설]은 말 그대로 문제 보기에 대한 해설이 되겠습니다.  이제 같이 문제들을 살펴봅시다! ..  [해설] 물의 전기 분해 관련 문제입니다.  중요한 것은 (-) 극에서 전자가 나온다고 생각해주면 됩니다.  전자를 누가 얻을 수 있을까요?  물에서 H의 산화수는 +1이고, O의 산화수는 -2가 되겠습니다.  따라서, 수소원자가 전자를 얻어, 수소기체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수소기체가 1개 생길때, 산소기체.. 2024. 8. 24.
[통합과학] 2020년 고1 11월 모의고사 문제 풀이 : 다시 봐야 하는 문항은 무엇일까? 2020년 경기도 교육청에서 실시한 고1 통합과학 11월 모의고사 문제 해설입니다.  특히 더 생각할 거리가 있는 문제들을 가져와보았습니다.  함께 살펴보시겠습니다.  ..   [해설] 중요한 것은 초기 수직 속도는 A, B 모두 0에서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초기 속도가 0으로 같고, 가속도도 중력가속도로 같기 때문에, 지면에 도달하는 시간은 A,B 모두 같겠습니다.  이때, A는 수평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지 않기 때문에, 속력은 항상 v로 일정하겠습니다.  위 문제의 답은 ㄱ, ㄴ, ㄷ 입니다.  ..   [해설] 혼합 용액 (다)에서 A, B 부피가 같은 데, 중성이므로 HCl 농도와 NaOH 농도는 같아야 합니다.  또한, 혼합 용액 (가)에서 B의 부피가 더 많은데, 산성이므로 B가 HCl, A.. 2024. 8. 23.
[통합과학] 2021년 고1 11월 모의고사 문제 풀이 : 부족한 부분을 체크해보세요 2021년에 경기도교육청에 시행한 고1 11월 모의고사입니다.  고1 모의고사라서 중요하게 생각되지 않을 수 있지만, 사실 고등학교 들어서 치는 모든 모의고사의 경험은 소중합니다.  정말 열심히 준비하여 치른 모의고사일 수록 더더 소중합니다.  그러한 경험으로 실전 분위기를 몸으로 느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함께 주요 문제를 살펴보시겠습니다. ..   [해설] B 구슬을 수평속도 몇으로 낙하시키든 지 간에, 수직 속도는 0에서 시작합니다.  A도 마찬가지죠. 따라서, 낙하시간은 무조건 A, B가 동일합니다.  ㄴ은 틀린 보기입니다.  (나) 과정에서 낙하 시간은 똑같은데, B 구슬의 수평 속도를 2배로 던졌기 때문에, 2배만큼 더 멀리 도달할 것입니다.  따라서, ㄴ은 2R 입니다.  위 문제의 답은 .. 2024. 8. 23.
[통합과학] 2022년 고1 11월 모의고사 문제풀이 : 실전 경험은 중요합니다 2022년에 경기도교육청에서 실시한 고1 통합과학 11월 모의고사 주요문제 해설입니다. 고1에 치는 모의고사가 중요하게 느껴지지 않을 수 있지만,이렇게 시험을 쳐볼 기회는 중요합니다.시험을 최선을 다해 준비해서, 원하는 성적을 맞보는 쾌감을 한번 느껴보시길 바라겠습니다.분명, 그런 친구들이 고2, 고3 때에도 잘 할 확률이 큽니다.그럼 함께 문제들을 살펴볼까요?..[해설] 반응이 일어나면서, 세모가 2개 없어지면서 동그라미가 1개 생겼습니다.그 이유는 Ag+ 두개가 전자 2개를 얻어 금속이 되면서, Cu 금속 하나가 전자 두개를 잃어 Cu2+가 되었기 때문입니다.위 문제의 정답은 ㄱ, ㄴ 입니다...[해설] 물체 A,B는 모두 수직 방향 속도가 0에서 출발합니다.따라서,  ㄷ 보기는 틀린 보기입니다.또한.. 2024. 8. 23.
통합과학 - 2023년 고1 11월 모의고사 : 주목해야 하는 문항? 2023년에 경기도교육청에서 실시한 고1 11월 모의고사 주요 문제풀이입니다. ‘주요’의 기준은 제 기준으로 조금 생각해야 할 부분이 있는 문제입니다.사실, 고1 모의고사가 수능까지 바라보았을 때,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이런 시험의 경험은 중요하므로, 제대로 준비하고 쳐보는 게 좋습니다.그럼 문제를 한번 살펴볼까요?..[해설] 그래도 이 문제는 친절한 편입니다. 위 그래프의 아래 부분에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 가 나오지 않아도 A,B 가 어느 시기에 해당되는 지 알 수 있어야 겠습니다.A는 고생대 말기에 판게아의 형성으로 생긴 가장 큰 규모의 대멸종 지점입니다.따라서, ㄱ 보기는 맞습니다.문제에서 나온 그림은 암모나이트 화석입니다.B시기는 중생대 말기인데 이 시기에 암모나이트와 공룡이.. 2024. 8. 23.
[통합과학] "지질시대의 환경과 생물 (내신 기출문제) 2편" : 8가지 개념 뼈대를 체크해보세요 통합과학 3단원 "지질시대의 환경과 생물" 단원에 해당하는 내신 기출문제 1편에 이은 2편입니다. [1편 바로가기] [통합과학] 고등학교 기출문제 "지질시대의 환경과 생물" 문제의 시작, 해설 1편통합과학 3단원 “지질시대의 환경과 생물” 단원 학교 기출문제에 대한 해설 1편입니다.문제를 통해, 개념을 체계적으로 기억하는 것이 좋습니다.함께 살펴봅시다!..[해설] 양치식물이 나온 김juningscience.tistory.com . 막무가내로 암기하기 보다, 개념의 뼈대를 세워 암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 체크리스트를 확인해보세요!  1) 화석의 생성과정과 생성조건을 알고 있는가?  2) 시상화석과 표준화석이 무엇인지 알고 각각의 예시를 말할 수 있는가?  3) 화석이 육상 생물이였는 지, 바다 생물이.. 2024. 8. 23.
[통합과학] "지질시대의 환경과 생물 (내신 기출문제) 1편" : 개념 뼈대를 세워 암기해야 합니다 통합과학 3단원 “지질시대의 환경과 생물” 단원 내신 기출문제에 대한 해설 1편입니다.  개념의 뼈대를 세워 암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 체크리스트를 확인해보세요!  1) 화석의 생성과정과 생성조건을 알고 있는가?  2) 시상화석과 표준화석이 무엇인지 알고 각각의 예시를 말할 수 있는가?  3) 화석이 육상 생물이였는 지, 바다 생물이였는 지 구분할 수 있는가?  4)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의 수륙분포에 대해 말할 수 있는가?  5) 4가지 지질시대에 어떤 식물이 번성하였고 출현하였는 지 말할 수 있는가?  6) 4가지 지질시대에 빙하기나 간빙기가 언제 있었는 지 말할 수 있는가?  7) 선캄브리아 시대의 주요 특징에 대해 말할 수 있는가?  8) 5가지 대멸종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가? ..  제.. 2024. 8.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