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명과학1 해설 저장소/2025 수능완성 해설

[고등생명과학1] 실전모의고사 3회 (2025 수능완성) 2편 : 역대급으로 긴문제에도 출발지점은 있다

by 주닛과학 2024. 9. 8.

생명과학1 2025 수능완성 실전모의고사 3회에서 주요 문항을 가져와보았습니다.

 

1편에 이은 2편입니다.

 

 

[1편 바로가기]

[고등생명과학1] 2025 수능완성 실전모의고사 3회 : 시간 줄이는 풀이법, 시작방법 1편

생명과학1 2025 수능완성 실전모의고사 3회에서 주요 문항을 가져와보았습니다.  그냥 풀이가 아닌, 시간을 줄이는 풀이법 또는 시작방법을 적어보았습니다.  문제 사진 아래에 [해설]은 저만

juningscience.tistory.com

 

 
.
.
 
 

 

그냥 풀이가 아닌, 시간을 줄이는 풀이법 또는 시작방법을 적어보았습니다.
 
 
문제 사진 아래에 [해설]은 저만의 해설을 적은 것이고,
 
 
[시작]은 이 문제를 푸는 데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인 시작을 적은 것입니다.
 
 
문제 아래에는 [해설], [시작] 중 하나가 있겠습니다.
 
 
해설과 시작을 보는 것에 그치지 말고,
 
 
"그럼 나는 앞으로 이러한 문제가 나올때 어떤 생각을 할 것인 지"
 
 
생각하는 시간을 꼭 가지시길 바랍니다.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
.

 

 
[시작] 구성원 1~3 을 보면, 1만 (가)가 발현되었습니다.
 
그러므로 II는 구성원 1이며, aa이므로 (가)는 열성형질입니다.
 
구성원 1~3을 보면, 1만 (나)가 발현되었습니다.
 
만약 열성형질이라면 I이 1이여야 하는데, 그럴 수는 없습니다. (이미 II가 1이므로)
 
따라서 (나)는 우성형질입니다.
 
이때 III은 (나)에 대해 정상이여야 하므로 남자이고, (나)는 X염색체 유전입니다.
 
III은 구성원 3이므로 자동으로 I은 구성원 2가 되겠습니다.
 
위 문제의 정답은 ㄱ,ㄴ,ㄷ 입니다.
 
 
.
.
 

반응형

 

728x90

 
 

 
[해설] 일단, 역대급으로 긴 문제네요..ㅎㅎ
 
(가) 대립유전자에 대한 우열관계를 정리해봅시다.
 
C > A / A > B or A=B / C > B or B = C
 
첫번째 꼭지를 그대로 해석해보면 위와 같이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이것을 하나로 합쳐보면, C > A > B 이거나 C > A = B 가 되겠습니다.
 
또한, 남자가 이형접합성이 될 수 있으므로 (가)는 상염색체 유전입니다.
 
그리고 6번째 꼭지에 의해 자녀2와 3의 (가) 표현형이 동일하려면 C > A > B 여야 하겠습니다.
 
.
 
5번째 꼭지에 의해, (나)는 우성형질이며 D > d 입니다.
 
6번째 꼭지에 의해, 아버지, 어머니, 자녀1은 C 유전자가 있어야 합니다.
 
7번째 꼭지를 해석해봅시다.
 
자녀1은 (가)에 대해 CC, (나)에 대해 Dd 입니다.
 
자녀2는 (가)에 대해 AB, (나)에 대해 -d 입니다.
 
자녀3은 (가)에 대해 AA, (나)에 대해 -d 입니다.
 
A의 갯수가 3개 이므로, d도 3개여야 합니다. 따라서 (나)는 X 염색체 유전이여야 하겠습니다.
 
.
 
(가) 유전자형이 자녀 3은 AA 이고, 자녀 4는 BB 이여야 합니다.
 
A는 아버지만 줄 수 있고, B는 어머니만 줄 수 있으므로,
 
자녀3이 태어날 때는 아버지가 24개의 염색체, 자녀4가 태어날 때는 어머니가 24개의 염색체를 가져야 합니다.
 
(ㄷ 맞는 보기)
 
위 문제의 정답은 ㄱ,ㄴ,ㄷ 입니다.
 
 
.
.
 
 
 
 

 
[시작] 이런 유형은 다음 생각이 중요합니다.
 
'두 대립유전자의 DNA 상대량이 모두 0이면 n인 수컷세포여야 하고 성염색체 유전이여야 한다'
 
'어떤 유전자의 DNA 상대량이 1인데, 다른 유전자의 DNA 상대량이 2이면 2n인 세포여야 한다.'
 
방금 문장은 그 반대도 물론 성립합니다.
 
'어떤 유전자의 DNA 상대량이 2인데, 다른 유전자의 DNA 상대량이 1이면 2n인 세포여야 한다.'
 
외운다기 보다, 읽으면서 느껴주시면 충분합니다.
 
.
 
P의 세포 II를 보면, d의 DNA 상대량이 1입니다. 이때 B와 b의 DNA 상대량은 모두 ⓒ 입니다.
 
ⓒ는 2가 될 수 없겠습니다.
 
Q의 세포 V에서 ⓑ도 2가 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가 2입니다.
 
그러므로 Q의 VI 세포는 2n인 세포이고, Q의 IV와 V 세포는 n인 세포입니다.
 
Q의 IV의 세포는 n 이므로, ⓑ가 1,2일 수는 없으므로 ⓑ는 0입니다. 
 
따라서, D와 d가 성염색체 위에 있고 Q는 남자입니다.
 
위 문제의 답은 ㄴ,ㄷ 입니다.
 
 
.
.
 
 
수고많으셨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