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1 2025 수능완성 항상성 단원 문제 풀이입니다.
2점 문제입니다.
.
.
항상성 단원은 혈당량 조절, 체온 조절, 삼투압 조절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 확실하게 알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처음보는 자료가 나오더라도 알고 있는 것을 토대로 차분히 유추할 수 있는 능력도 중요하겠습니다.
2024년 9월에 시행된 평가원 모의고사에서 다소 생소한 자료가 나왔었는데,
EBS 기준 오답률이 46.8% 였습니다.

.
.
해당 문제를 살펴보고 싶으시다면 아래 링크로 이동해주세요.
6번 문항을 보시면 됩니다.
[고등생명과학1] 2025학년도 평가원 고3 9월 모의고사 : 꼭 다시 풀어보아야 하는 주요 문제 풀이
2024.09.04에 시행된 생명과학1 2025학년도 평가원 9월 모의평가에서 주요문제를 가져와보았습니다. [1편] .. 어떻게 보셨나요? 점수가 기대보다 못미치나요? 정말로 괜찮습니다... 이번 시험
juningscience.tistory.com
.
.
이제 2025 수능완성 항상성 단원에 나오는 2점 문제들을 살펴봅시다.
.
.

[해설] 포도당 농도가 증가할수록 ㉠의 농도는 감소합니다.
그러므로 ㉠은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변환시키는 글루카곤입니다.
이자에 연결된 부교감 신경이 흥분하면 인슐린이 분비됩니다.
인슐린은 포도당을 글리코겐으로 변환시킵니다.
위 문제의 정답은 ㄱ,ㄴ 입니다.
.
.

[해설] 이미 혈액량이 많은 사람일지라도 혈장 삼투압이 높으면 ADH는 분비됩니다.
다만, 이 경우 혈압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신체는 ADH 분비를 줄여서 물의 재흡수를 억제하고,
소변을 통해 체액을 배출하려고도 합니다.
결국, 삼투압의 영향이 우선적이지만, 혈액량도 ADH 조절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혈중 ADH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더 낮은 B가 '혈액량이 정상보다 증가한 상태' 입니다.
위 문제의 답은 ㄱ,ㄴ 입니다.
.
.

[해설] 운동을 하면 근육 세포는 포도당을 더 많이 분해하여 ATP(에너지)를 생산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혈중 포도당의 농도는 감소하게 됩니다.
혈중 포도당 농도가 감소하면 인슐린 농도는 감소하고 글루카곤 농도가 증가합니다.
t1보다 t2에서 혈중 인슐린 농도가 더 감소한 상태입니다.
그 이유는 혈중 포도당 농도가 더 감소한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위 문제의 답은 ㄱ,ㄷ 입니다.
.
.
혹여나 헷갈리는 자료가 있었다면 확실하게 짚고 넘어가야 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생명과학1 해설 저장소 > 2025 수능완성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등생명과학1] "사람의 유전병 3점 (2025 수능완성) 1편" : 전좌 돌연변이에 익숙해집시다 (1) | 2024.09.19 |
---|---|
[고등생명과학1] "항상성 (2025 수능완성) 3점" : 실수하기 좋은 단원입니다 (0) | 2024.09.19 |
[고등생명과학1] 실전모의고사 4회 (2025 수능완성) 1편 : 못했던 생각은 메모해두세요 (0) | 2024.09.15 |
[고등생명과학1] 실전모의고사 3회 (2025 수능완성) 2편 : 역대급으로 긴문제에도 출발지점은 있다 (0) | 2024.09.08 |
[고등생명과학1] 실전모의고사 3회 (2025 수능완성) 1편 : 결국 중요한 것은 시작입니다 (1) | 2024.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