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학1 해설 저장소/2026 수능특강 해설

화학1 (2026 수능특강) - 중화반응 문제 2편 : 액성 결정하는 사고과정?

by 주닛과학 2025. 3. 6.

화학1 2026 수능특강 중화반응 문제 2편입니다.

 

[1편 바로가기]

 

화학1 (2026 수능특강) - 중화반응 문제 1편 : 총 양이온수와 음이온수 구하기

화학1 2026 수능특강 중화반응 문제를 가져와보았습니다. 1편입니다. . 전년도 수능특강 중화반응 문제가 궁금하다면 아래 게시물도 참고해보세요! 화학1 (2025 수능특강) - 중화반응 3점 1편 : 이

juningscience.tistory.com

반응형
728x90

 

.

.

 

8번 문제

 

[해설] 중화반응 문제에서 떠올려야 하는 불변의 진리가 있습니다.

 

"반응물들의 총 전하량 합은 반응후에도 일정하다."

 

반응물들을 보면 HCl / NaOH / HBr / KOH 모두 총 전하량 합은 0 입니다.

 

그러므로 반응후 총 전하량 합도 0이 되어야만 하겠습니다.

 

.

 

혼합 용액 (가), (나), (다)를 보면 모두 3종류의 이온이 존재합니다.

 

이때 구경꾼 이온만 해도 이미 3종류가 되므로

 

H+ / OH- 가 존재하면 안되겠습니다.

 

그러므로 모두 중성이여야 합니다.

 

.

 

저는 A를 KOH 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가)에서 반응후 총 전하량 합은 0이 되어야 하므로

 

2(Cl-) : 1(K+) : 1(Na+) 입니다.

 

화학에서는 비율값을 실제값으로 생각할 줄 아는 과감함이 필요합니다.

 

그래야 상황을 간단하게 바라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는 HCl 20mL에 2개 / NaOH 20mL에 1개 / KOH 10mL에 1개 있다고 놓아보겠습니다.

 

.

 

그러면 (나)에서도 중성이 나오게 되므로 모순이 없습니다.

 

.

 

(다)에서 반응후 총 전하량 합은 0이므로

 

4(Cl-) / 1(K+) / 3(Na+) 이여야 하겠습니다.

 

x = 40 / y = 10

 

.

 

위 문제의 답은 15 입니다.

 

.

 

아래 게시물도 함께 보시면 도움될 것 같습니다.

 

 

화학1 (2025 수능완성) - 실전모의고사 3회 2편 : 중화반응에서 불변의 진리는?

화학1 2025 수능완성 실전모의고사 3회에서 주요 문항을 가져와보았습니다.1편에 이은 2편입니다.  [1편 바로가기] [고등화학1] 2025 수능완성 실전모의고사 3회 : 시간 줄이는 풀이법, 시작방법 1

juningscience.tistory.com

 

 

.

.

 

 

12번 문제

 

[해설] (가)와 (나)를 함께 봅시다.

 

HCl와 NaOH 부피비는 모두 10 : V 로 같습니다.

 

(가)와 (나) 액성이 다른 이유는 H2A 때문입니다.

 

(가)에서 H2A가 더 많은 비율이 들어있으므로

 

(가)는 염기성이 될 수는 없습니다.

 

.

 

(나)와 (다)를 함께 봅시다.

 

H2A와 NaOH 부피비는 모두 10 : V 로 같습니다.

 

따라서 (나)와 (다)의 액성이 다른 이유는 HCl 때문입니다.

 

(나)에서 HCl이 더 많은 비율이 들어있으므로

 

(나)는 염기성이 될 수는 없습니다.

 

.

 

따라서 (다)가 염기성 / (나)가 중성 / (가)가 산성 입니다.

 

.

 

이후 풀이 과정은 아쉽게도 문자를 사용하여 풀 수밖에 없습니다..ㅠ

 

따라서 계산은 연습겸 한번 해보시고

 

정리하실 때는 (가), (나), (다) 액성 결정하는 사고과정만 다시 짚고 넘어가면 충분합니다.

 

이 과정은 기출된 바 있습니다.

 

문제 사진만 캡쳐하여 넣어두도록 하겠습니다.

 

2024대비 수능 18번 문제

 

.

.

 

 

14번 문제

 

[해설] (나)의 액성이 중성이므로 (가)는 산성, (다)는 염기성입니다.

 

모든 음이온수를 생각할 때는 혼합 용액의 액성을 생각해주어야 합니다.

 

(가)는 산성이므로 초기 산에 들어있던 음이온 수를 기준값으로 생각해봅시다.

 

실제로 몇 개인지는 모르지만 그냥 마음가짐을 그렇게 해보자는 뜻입니다.

 

그리고 초기 산에 NaOH를 넣어준다고 생각해보세요.

 

기준값에서 변화가 있을까요?

 

없습니다.

 

그러므로 초기 산에 들어있던 음이온 수가 혼합 용액의 음이온 수가 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가), (나) 모두 음이온 수가 동일합니다.

 

몰농도의 정의는 '몰 / 부피' 인데, (가)와 (나)는 몰이 같으므로

 

몰농도비는 부피비의 역수가 됩니다.

 

몰농도비는 (가) : (나) = 3 : 2 이므로

 

부피비는 2 : 3 입니다.

 

그러므로 V = 30 입니다.

 

.

 

화학에서는 최대한 임의의 값으로 놓고 풀이를 이어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제 상황이 훨씬 간단해지기 때문입니다.

 

저는 (나) 용액이 중성이므로

 

그냥 H2A 50mL에 H2A가 2개가 있고

 

NaOH 40mL에 NaOH가 4개 있다고 놓아보겠습니다.

 

(나)에 존재하는 모든 음이온 수는 2개 입니다.

 

(다)에 존재하는 모든 음이온 수는 5개 입니다.

 

(다)에서 모든 음이온의 몰농도는 5 / 120 이므로 a = 1/360 입니다.

 

y = 0.1 입니다.

 

.

 

위 문제의 답은 2번 입니다.

 

 

.

.

 

 

수고하셨습니다.

 

 

다시 한번 풀이를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시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