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1 해설 저장소68 화학1 (2026 수능특강) - pH와 pOH 문제 2편 : 소수에 적응하자 화학1 2026 수능특강에서 물의 자동이온화 단원 문제 2편 입니다. [1편 바로가기] 화학1 (2026 수능특강) - pH와 pOH 문제 1편 : 실전 문제 풀이화학1 2026 수능특강에서 물의 자동이온화 단원 문제를 가져와보았습니다. 2편으로 나누어 작성해보겠습니다. 먼저 1편입니다. .. [해설] (가)의 pOH는 (나)의 pOH 보다 항상 더 크므로 (가)juningscience.tistory.com .. [해설] pOH 값부터 계산해봅시다. (가)의 pOH는 3.5 입니다. (나)의 pOH는 12.5 입니다. (다)의 pOH는 1 입니다. . 문제 자료에서 ㉡의 pOH는 ㉢보다 커야 하므로 ㉡은 (가) 또는 (나) 이여야 합니다. 저는 ㉡을 (가)로 가정해보겠습니다. 물을 넣어 부피가.. 2025. 2. 27. 화학1 (2026 수능특강) - pH와 pOH 문제 1편 : 실전 문제 풀이 화학1 2026 수능특강에서 물의 자동이온화 단원 문제를 가져와보았습니다. 2편으로 나누어 작성해보겠습니다. 먼저 1편입니다. .. [해설] (가)의 pOH는 (나)의 pOH 보다 항상 더 크므로 (가)는 HCl / (나)는 NaOH 입니다. . (가)인 HCl 에 집중해봅시다. 가한 물의 부피가 0mL 일때 aM 입니다. 가한 물의 부피가 90mL 라면 몰농도가 어떻게 변할까요? 부피가 10mL 에서 100mL 로 10배 더 커지므로 몰농도는 1/10배가 되겠습니다. 따라서 0.aM 입니다. pH가 1 커지므로 pOH는 1 작아져야 하겠습니다. 그러므로 4k - 1 = k + 8 이므로 k = 3 입니다. . (가) HCl의 초기 pOH는 12 이므로 pH는 2가 됩니다. 따라서 a = 0.01.. 2025. 2. 27. 화학1 (2026 수능특강) - 화학식량과 몰 3편 : 10번 시작하는 법 2026 수능특강 화학1 '화학식량과 몰' 단원 문제 3편 입니다. [2편 바로가기] [고등화학1] 화학식량과 몰(2026 수능특강) 2편 : 주목해야 하는 문제?2026 수능특강 화학1 '화학식량과 몰' 단원 문제 2편 입니다. [1편 바로가기] [고등화학1] 화학식량과 몰(2026 수능특강) 1편 : 비율값은 실제값처럼2026 수능특강 화학1 '화학식량과 몰' 단원 문제juningscience.tistory.com .. [해설] 가만히 문제에서 제시된 정보들을 바라보세요. 모두 '비율값'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그 비율값들 중 하나를 실제값처럼 생각하는 것입니다. . (나) 실린더의 'A 원자수 / B 원자수' 값은 6 입니다. 저는 A 원자수가 6개 / .. 2025. 2. 11. 화학1 (2026 수능특강) - 화학식량과 몰 2편 : 주목해야 하는 문제 2026 수능특강 화학1 '화학식량과 몰' 단원 문제 2편 입니다. [1편 바로가기] [고등화학1] 화학식량과 몰(2026 수능특강) 1편 : 비율값은 실제값처럼2026 수능특강 화학1 '화학식량과 몰' 단원 문제입니다. . 이 단원은 최대한 문자를 사용하지 말고 과감하게 숫자로 찔러보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지금 당장 문제를 맞은 것은 중요하지 않습니juningscience.tistory.com.. [해설] 1g에 들어있는 전체 원자수 자료와 1g에 들어있는 Y 원자수 자료를 함께 생각해봐야 합니다. 무엇을 추론할 수 있을까요? 전체 원자수에서 Y원자수가 차지하는 비율을 알 수 있습니다. (가)에서는 25N / 100 이고 (나)에서는 33N / 99 이므로 결국 (가) : (나) = 3 : 4 입니.. 2025. 2. 11. 화학1 (2026 수능특강) - 화학식량과 몰 1편 : 비율값을 실제값처럼 2026 수능특강 화학1 '화학식량과 몰' 단원 문제 1편 입니다. . 이 단원은 최대한 문자를 사용하지 말고 과감하게 숫자로 찔러보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지금 당장 문제를 맞은 것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시험장에서 이 문제를 마주했을때에도 내가 이 문제를 맞힐 수 있었을까?' 를 항상 질문해보아야 합니다. 그럼 함께 문제를 살펴봅시다! .. [해설] X2Y / X2Y2 질량이 주어져 있습니다. 이때 알아내야 하는 것은 a, b가 아니라 X2Y ag에 몇 개의 분자가 있는지 X2Y2 bg에 몇 개의 분자가 있는지 입니다. 이렇게 올바른 목표를 설정하여야 이상한 흐름으로 이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 저는 X2Y ag에 들어있는 분자 수를 m, X2Y2 bg에 들어있는 분자 수를 n으로 놓아보겠습.. 2025. 2. 11. 이전 1 2 3 4 5 6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