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025.03.26 수요일에 시행된 고3 3월 모의고사 생명과학1 주요 문항을 가져와보았습니다.

EBS 등급컷을 보면, 난이도는 '중' 정도로 파악됩니다.
모의고사를 치고 나면, 어쩔 수 없이 점수가 제일 먼저 보이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내가 알지 못했던 문제풀이 아이디어가 있는가?'
스스로에게 질문하며 깨우치는 것입니다.
한번 같이 살펴봅시다!

.
.

[해설] ㉠ + ㉡ 길이에 집중해봅시다.
t1에서 t2가 될 때, ㉠이 2k 만큼 변한다고 하면 ㉡은 -k 만큼 변해야 합니다.
결국 ㉠ + ㉡ 길이는 +k 만큼 변해야 하므로 k = - 0.2 입니다.
그러므로 t1에서 t2 보다 근육 원섬유 마디의 길이가 더 길어야 하겠습니다.
.
같은 논리로 ㉠ - ㉢ 의 길이는 t1에서 t2가 될 때, +k 만큼 변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는 0.2 입니다.
.
ㄴ 보기에서 A대의 길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내가 이미 알고 있는 길이들을 잘 조합해야 합니다.
저는 ㉠ + ㉡ 와 ㉠ - ㉢ 를 빼보았습니다.
그러면 ㉡ + ㉢ 길이가 나오기 때문입니다.
t1 에서 ㉡ + ㉢ 길이는 1 이므로 ㉠ 길이는 1.1 입니다.
그러므로 A대의 길이는 1.7이 되겠습니다.
.
위 문제의 답은 ㄱ 입니다.
.
.
[EBS 기준, 오답률 1등 문제]

[해설] (가) 유전자 사이의 우열 관계 부터 정리해봅시다.
제시된 자료에 의해, A = B > D 입니다.
.
핵심 단서는 I과 II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의 최대 표현형 가짓수가 5가지라는 것입니다.
I과 II의 (가) 유전자에 먼저 집중해봅시다.
자녀에게 어떤 (가) 표현형이 가능한가요?
A 표현형이 가능합니다.
또한 D 표현형도 가능합니다.
(가) 유전자가 있지 않은 염색체를 보면
대문자 수는 1 또는 2, 즉 2가지 경우의 수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가) 표현형이 A, D 말고 하나 더 나오게 된다면 최소 6가지 표현형이 나오게 됩니다.
그러므로 (가) 표현형으로는 오로지 A 표현형, D 표현형만 나와야 하겠습니다.
.
이제 여자 II의 (가) 유전자형을 가정해보아야 합니다.

자녀의 (가) 표현형이 D일때 가능한 표현형 가짓수는 2가지 입니다.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려면 자녀의 (가) 표현형이 A일때, 3가지가 나와줘야 합니다.
하지만 불가능하므로 모순입니다.
.

마찬가지로 자녀의 (가) 표현형이 D일때, 가능한 표현형 가짓수는 2가지 입니다.
자녀의 (가) 표현형이 A일때, 3가지가 되려면
남자 I의 유전자형은 Ee가 되어야 합니다.
최종본은 아래와 같습니다.

.
위 문제의 답은 4번 입니다.
? 유전자를 찾는 과정에서 시간이 좀 걸릴 수 있겠습니다.
노하우가 있다면 일단 확실하게 알려준 유전자부터 생각을 뻗어나가야 합니다.
또한 ? 유전자를 다짜고짜 가정하여 생각하기 보다는
확실하게 주어진 정보 내에서 추론해낼 수 있는 정보가 있는 지 고민해야 합니다.
저는 이번 문제에서 (가) 표현형이 A, D 만 존재해야 함을 가정없이 알아낼 수 있었습니다.
.
이번 문제를 통해, 다짜고짜 가정하는 습관을 버리고
주어진 정보 내에서 추가적으로 알아낼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보는 연습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
.

[해설] 19번 문제도 다짜고짜 가정하면 안됩니다.
문제에서 알려준 정보를 바탕으로 똑똑하게 가정해보아야 합니다.
.
(가) 표현형에 먼저 집중해봅시다.
문제의 표에서 h + ㉠ 으로 (가) 유전자는 무엇인지 확실히 알려주었기 때문입니다.
이때 표에 나온 사람들 중, 1번과 4번의 (가) 표현형이 동일합니다.
그래서 1번, 4번에 집중해보겠습니다.
만약 (가)가 열성 형질 이였다면?
1은 h + ㉠ = 1 을 만족하기 위해 hY 이여야 합니다.
자연스럽게 (가)는 X 염색체 위에 있어야 하겠습니다.
그러면 3번은 HY 이고 딸들은 (가)가 발현되면 안됩니다.
그런데 5번은 (가)가 발현되었으므로 모순입니다.
.
(가)는 우성형질 입니다.
그러므로 4번의 (가) 유전자형은 Hh 입니다.
이때 6번의 h + ㉠ = 1 입니다.
6번은 4번으로부터 무조건 h를 하나 받아야 합니다.
이걸로 이미 h + ㉠ = 1을 만족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6번의 (가) 유전자형은 hY 이여야만 합니다.
자연스럽게 (나) 유전자는 상염색체 위에 있어야 합니다.
4번과 6번의 (나) 표현형에 집중해봅시다.
4번은 (나) 발현되지 않았고, ㉠ 유전자를 1개 가집니다.
6번은 (나) 발현되었고, ㉠ 유전자를 0개 가집니다.
(나) 발현 유전자가 열성이여야 하므로 ㉠은 T 입니다.
.
위 문제의 답은 ㄱ, ㄷ 입니다.
.
.
이것으로 주요문항 해설을 마치겠습니다.
언급하지 않은 문제들은
학생 여러분 스스로 충분히 해결가능한 범위에 있다고 생각하여 담지 않았습니다.
깨달음 가득한 3월 모의고사가 되었으면 합니다.
모두 수고하셨고, 화이팅 해봅시다.


'생명과학1 해설 저장소 > 교육청, 평가원 모의고사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등생명과학1] 2025학년도 수능 주요 문항 2편 : 가정 타이밍은 언제일까요? (0) | 2024.11.15 |
---|---|
[고등생명과학1] 2025학년도 수능 주요 문항 1편 : 똑똑한 가정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0) | 2024.11.15 |
[고등생명과학1] 2024 고3 10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주요문항 : 20번 문항은 꼭 풀줄 알아야 합니다 (0) | 2024.10.24 |
[고등생명과학1] 2025학년도 평가원 고3 6월 모의고사 2편 : 여러분만의 풀이법을 고민해보세요 (0) | 2024.09.07 |
[고등생명과학1] 2025학년도 평가원 고3 6월 모의고사 1편 : 틀린 이유가 무엇인가요? (0) | 2024.09.07 |